김병종의 花紅山水, 남원을 살려내다

인터넷 뉴스


지금 한국의 소식을 바로 확인해보세요.

김병종의 花紅山水, 남원을 살려내다

조선닷컴 0 166 0 0

“글은 말을 다 담지 못하고, 말은 뜻을 다 밝히지 못한다.” 그래서 ‘그림[상·象]’으로 사물의 뜻을 밝히려 하였다(‘주역’). 그림의 존재론적 이유이다. 그렇다고 모든 그림이 사물(세계)을 제대로 드러내는 것은 아니다. 땅을 읽어내려는 풍수학인의 고민도 여기서 시작한다. 그 고민을 전통 산수화가들도 공유하였다. 종병(宗炳·375~443)이 “산수의 정신을 그려야 한다”고 주장한 이래 중국의 역대 화가들은 이 화두를 붙잡고 끊임없이 고민하였다. 산수화와 풍수가 일란성 쌍둥이인 이유이다.

기운생동한 산수화의 정신[神]은 화가·소장자·관람객에게 전해진다[傳]. 이른바 ‘전신(傳神)론’이다. 따라서 산수화는 일종의 의식 형태이다. 풍수에서는 산수의 정신을 ‘형국론(形局論)’으로 표현하고자 한다. ‘맹호가 숲을 나서는 형국[猛虎出林形]’이니 ‘소가 누워 있는 형국[臥牛形]’이니 하는 말들이 그와 같은 것이다. 분석을 통한 앎이 아닌 총체적 직관을 통해 얻어지는 이미지[상·象]를 얻자는 것이 풍수가 지향하는 바이다. 물질적 땅이 아닌 의미론적 땅으로 다가와야 한다.

0 Comments

인기 동영상



포토 제목

포인트 랭킹


커뮤니티 최근글


새댓글


추천글 순위


섹스킹 파트너


Facebook Twitter GooglePlus KakaoStory NaverBand