[경제읽기] 소비자물가 상승률 2%대로…하반기 전망은?

인터넷 뉴스


지금 한국의 소식을 바로 확인해보세요.

[경제읽기] 소비자물가 상승률 2%대로…하반기 전망은?

실시간뉴스s 0 512 0 0
[경제읽기] 소비자물가 상승률 2%대로…하반기 전망은?<출연 : 권혁중 경제평론가>경제 현안을 보다 쉽게 풀어보는 '경제읽기' 시간입니다.오늘도 다양한 경제 이슈들, 권혁중 경제평론가와 살펴보겠습니다.안녕하세요.<질문 1> 지난달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1년 전 같은 달보다 2.7%를 기록하며 지난 2021년 9월 이후 21개월 만에 2%대로 내려왔습니다. 드디어 고물가가 꺾였다고 볼 수 있을까요? 상승률 둔화를 견인한 일등 공신은 누구였나요?<질문 2> 자주 구매하는 품목 위주로 구성돼 체감물가에 가까운 생활물가지수 상승률은 5월 3.2%에서 6월 2.3%로 떨어졌고 근원물가도 둔화 흐름을 보였는데 물가가 안정되고 있다고 피부로 느껴지시나요?<질문 2-1> 한국은행은 지난달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2%대로 둔화했지만, 연말 3%로 오를 거라 내다봤는데 어떤 이유 때문인가요? 하반기 물가를 좌우할 주요 변수를 꼽아주신다면요?<질문 3> 당초 한국은행은 물가 상승률 목표치로 2%를 제시했었는데 이렇게 되면 오는 13일로 예정된 금통위에서 기준금리가 동결될 가능성이 커졌다고 볼 수 있을까요? 미국 연준에서 두 차례 추가 금리 인상을 예고하기도 했는데 하반기 금리 향방은 어떻게 전망하십니까?<질문 4> 지난 4월 국내 은행의 대출 연체율이 2년 8개월 만에 가장 높은 수준을 기록했습니다. 기업대출과 가계대출 연체율이 모두 상승했는데 어떻게 해석해야 할까요?<질문 5> 은행들의 연체율이 급등하며 부실 우려가 커지는 가운데 새마을금고의 연체율이 유독 높아 이목이 집중되고 있습니다. 정부는 새마을금고에 대해서 특별점검에 나서기로 했는데 상황 어떻게 진단하십니까?<질문 6> 새마을금고 측은 "대출 담보인정비율(LTV)이 60% 수준"으로 관리가 가능하다며 진화에 나섰는데 안심해도 괜찮을까요? 채무조정을 통한 연체율 관리에도 나섰지만, 받을 수 있는 이자까지 포기하고 '숫자' 관리에 나선 것이 아니냐는 비판이 나오고 있던데요?<질문 6-1> 새마을금고 부실이 현실화되면 경제적으로 어떤 파장이 발생하게 될까요? 특별점검 결과에 따라 정부가 구조조정 등의 조치에 나설 가능성도 언급되고 있는데 어떤 대책이 필요하다 보십니까?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(끝)

0 Comments

인기 동영상



포토 제목

포인트 랭킹


커뮤니티 최근글


새댓글


추천글 순위


섹스킹 파트너


Facebook Twitter GooglePlus KakaoStory NaverBand